학습서
검색방법 : Ctrl + F 키를 누르세요.
서명 | 출판사 | 저자명 |
---|---|---|
경세유표 1, 2, 3 | 정약용 저/이익성 역 | |
경학개설 | 청아 | 하경용 |
계서야담 | 이희준 | |
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| 한국.교육부 | |
고려명현집 | 성대 | 대동문화연구원 |
고문관지 | 오초재 | |
고문진보언해 | 고려서린 | |
고문진보언해 | 고려서린 | |
고문진보언해 | 고려서린 | |
고문진보언해 | 고려서린 | |
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| 정출헌 | |
고전의 지혜 | 한문교육과 교재 | |
공자평전 | 천웨이핑 저/ 신창호 역 | |
광해군 | 한명기 | |
교양한문 | 성균한문학교실 | |
교양한문 | 김갑기 | |
교육학 길라잡이1000제 | 조화섭 | |
교주조선한문학사 | 태학사 | 김태준 |
국문학의 구비성과 기록성 | 한국고전문학회 | |
국어 지식 교육론 | 서울대 | 김광해 |
국어 지식 탐구 | 박이정, 김광해 | |
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탐구 | 박영복, 한철우 | |
국어과 교수학습론 | 박영목 | |
국어과 교육론 | 노명완, 박영목 | |
국어교육학 개론 | 최현섭, 노명완 | |
국어국문학사전 | 신구문화사 | |
국어국문학사전 | 신구문화사 | |
국어대사전 | 민중서림 | |
국어지식탐구 | 김광해 | |
국역동국이상국집 | 민문고 | |
국역동국이상국집 | 민문고 | |
국역동국이상국집 | 민문고 | |
국역동국이상국집 | 민문고 | |
국역동국이상국집 | 민문고 | |
국역동국이상국집 | 민문고 | |
국역동국이상국집 | 민문고 | |
궁핍한 날의 벗 | 태학사 | 박제가 |
궁핍한 날의 벗 | ||
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| 서울대규장각 | |
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| 서울대규장각 | |
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| 서울대규장각 | |
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| 서울대규장각 | |
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| 서울대규장각 | |
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| 서울대규장각 | |
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| 서울대규장각 | |
규장각한국본도서해제 | 서울대규장각 | |
그렇다면 도로 눈을 감고 가시오 | 학고재 | 박지원 |
그렇다면 도로 눈을 감고 가시오 | ||
근사록 | 주희, 여조겸 엮음/이기동 옮김 | |
근사록 | 朱熹 | |
금오신화 | 홍익출판사 | 김시습 |
금오신화(매월당김시습) | ||
금오신화(매월당김시습) | 홍익출판사 | |
기초한문 | 고려대학교 | |
김시습 평전 | 심경호 저 | |
김시습 평전 | 심경호 | |
김택영의 조선 시대사 韓史경 | 김택영 | |
김택영의 조선시대사 | 한사경, 김택영 지음/조남권 외 옮김 | |
나 홀로 가는 길 | 유몽인 | |
나는 당당하게 살겠다 | 태학사 | 김건우 편역 |
나홀로가는길 | ||
남명 조식 | 조식 | |
남명집 | 이론과실천 | |
남행열차 | 태학사 | 이태준 |
남행열차 | ||
내가 사랑하는 삶 | 태학사 | 장조 |
내가 사랑하는 삶 | ||
노자 평전 | 쉬캉성 저/유희재, 신창호 공역 | |
논어 | 학민문화사 | |
논어 | 학민문화사 | |
논어 | 학민문화사 | |
논어 | 공자 | |
논어 | 공자 | |
논어의 문법적 이해 | 류종목 지음 | |
논어의 문법적 이해 | 류종목 | |
누워서 노니는 산수 | 태학사 | 이종묵 |
누워서 노니는 산수 | ||
눈물이란 무엇인가 | 태학사 | 심노숭 |
눈물이란 무엇인가 | ||
다산서간정선 | 정약용, 정약전 저/ 정해렴 편역주 | |
다산서간정선 | 정약용 | |
다산시문집 1~10 | 정약용 | |
다산의 경학세계 | 정약용 저.실사학사경학연구회 편역 | |
茶山의 經學世界 | 태학사 | 정약용 |
다시옛시정을더듬어(한국역대한시평설) | ||
당시 읽기 | 요시까와 코오지로오, 미요시 타쯔지 지음/ 심경호 옮김 | |
唐詩 읽기 | 吉川幸次郞 | |
당시개설 | 이회문학사 | 소천환수 |
당시개설 | ||
당시개설 | 이회문학사 | |
당의통략(黨議通略) | 이건창 | |
대동운부군옥 1~10 | 권문해 | |
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 | 權文海 | |
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 | 權文海 | |
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 | 權文海 | |
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 | 權文海 | |
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 | 權文海 | |
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 | 權文海 | |
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 | 權文海 | |
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 | 權文海 | |
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 | 權文海 | |
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 | 權文海 | |
도덕경 | 현암사 | 노자 |
도덕경 | 현암사 | 조근태 |
도연명 전집 | 차주환 | |
동몽선습 격몽요결 | 전통문화연구회 | |
동문선 | 민추 | |
동문선 | 민추 | |
동문선 | 민추 | |
동문선 | 민추 | |
동문선 | 민추 | |
동문선 | 민추 | |
동문선 | 민추 | |
동문선 | 민추 | |
동문선 | 민추 | |
동문선 | 민추 | |
동아시아 구비서사시의 양상과 변천 |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엮음. 조동일 | |
동아시아 문학 속에서의 한국한문소설 연구 | ||
두공부초당시화 | 이의강 지음 | |
뜬 세상의 아름다움 | 정약용 | |
마음속의 대나무 | 태학사 | 소식 |
마음속의 대나무 | 태학사 | 소식 |
매월당 김시습 금오신화 | 김시습 저/심격호 주해 | |
맹자 | 학민문화사 | |
맹자 | 학민문화사 | |
맹자 평전 | 미다스북스 | 양국영 |
맹자집주 | 전통문화연구회 | |
명심보감 및 집주 | 태학사 | |
목릉문단과석주권필 | ||
몸은 곤궁하나 시는 썩지 않네 | 송재소 | |
(무위당 장일순의) 노자이야기 | 장일순 | |
미시사의 즐거움 | Schlumbohm, Ju | |
민족문학사 강좌 상하 | 태학사 | 창작과 비평사 |
박지원산문의고문변용양상 | ||
박지원의 산문문학 | 김혈조 | |
배는 그만두고 뗏목을 타지 | 학고재 | 허세욱 |
배는 그만두고 뗏목을 타지 | ||
북학의 | 태학사 | 박제가 저/안대회 역 |
북학파의인식파문학 | ||
비슷한 것은 가짜다 | 태학사 | 정민 |
사기본기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기세가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기세가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기열전 | 까치출판사 | 정범진 |
사기열전 | 까치출판사 | 정범진 |
사기열전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1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2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3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4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5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6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7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마천 사기표서 | 까치출판사 | 사마천 |
사문유취 | 서광 | |
사문유취 | 서광 | |
사문유취 | 서광 | |
사문유취 | 서광 | |
사서집해사전 | 연세대학교 | |
사씨남정기 | 태학사 | 김만중 |
사씨남정기 | 홍대용 | |
산해관 잠긴 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 | ||
삼국사기 | 이병도 | |
삼국사기 | 이병도 | |
삼국사기 | 을유문화사 | 정진숙 |
삼국사기 | 을유문화사 | 정진숙 |
삼국사기1 | 이병도 | |
삼국사기2 | 이병도 | |
삼국유사 | 을유문화사 | 일연 |
새로운 한문 교육의 지평 | 송병렬 | |
서전 | 학민문화사 | |
서전 | 학민문화사 | |
서전 | 학민문화사 | |
선생, 세상의 그물을 조심하시오 | 태학사 | 이옥 |
선생, 세상의 그물을 조심하시오 | ||
선인들의 지리산 유람록 | 시인사이륙 등저 | |
설공찬선(주석과관련자료) | ||
설공찬전 | 채수 | |
설문해자주 | 여명문화사업공사 | |
성학십도 | 이황 | |
성학십도와 퇴계철학의 구조 | 금장태 | |
성호이익연구 | 이익 | |
성호학통 연구 | 강세구 | |
세설신어 상, 중, 하 | 유의경 지음, 김장환 옮김 | |
(세종조 간행본) 杜工部草堂詩話 | 채몽필 | |
소학 | 학민문화사 | |
수해천자문 | 전통문화연구회 | |
시경집전 | 전통문화연구회 | 성백 |
시경집전 | 전통문화연구회 | |
시전 | 학민문화사 | |
시전 | 학민문화사 | |
시전 | 학민문화사 | |
시화 총림 | 역주 홍찬유 | |
신광한의 기제기이 연구 | 한국문화사 | 유기옥 |
신광한의 기제기이 연구 | 한국문화사 | 유기옥 |
실공찬전 | 이복규 | |
실사구시의 한국학 | 임형택 | |
십삼경색인 | 중화서국출판 | |
17세기애정전기소설 | 월인 | 이상구역주 |
17세기애정전기소설 | 월인 | |
17세기애정전기소설 | 월인 | |
17세기에정전기소설 | 월인 | |
십팔세기 조선 인물지(병세재언록) | 이규상 | |
아내의 방 | 태학사 | 귀유광 |
아내의 방 | 태학사 | 귀유광 |
아버지의 뒷모습 | 태학사 | 주자청 |
아버지의 뒷모습 | 태학사 | 주자청 |
안동여류한시 | 이희 | |
(諺譯) 論語 | 儒敎經典講硏究所 | |
(諺譯) 孟子 | 儒敎經典講硏究所 | |
(諺譯) 書傳 | 儒敎經典講硏究所 | |
(諺譯) 詩傳 | 儒敎經典講硏究所 | |
여말선초 한문학의 재조명 | 이병혁 지음 | |
역주 과정록 | 태학사 | 박종채 |
역주 매씨서평 | 정약용 저/이지형 역주 | |
연방세고 | 중문 | |
연암일파 北學思想 硏究 | 유봉학 | |
연암집 | 계명문화사 | |
연암집 | 계명문화사 | |
연암집 | 계명문화사 | 고미숙 |
열하일기,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| ||
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| 이수건 | |
예기 | 학민문화사 | |
예기 | 학민문화사 | |
예기 | 학민문화사 | |
예기 | 학민문화사 | |
(5백년 내력의) 명문가 이야기 | 조용헌 | |
옥같은 너를 어이묻으랴 | 태학사 | 이승수 |
옥같은 너를 어이묻으랴 | 태학사 | |
온세상의아름다움 | ||
왕필의 노자 | 왕필 | |
우리 한문학사의 새로운 조명 | 이혜순 | |
우리나라 고전 소설사 | 김춘택 | |
(유가의 1인자 )공자평전 | 陳衛平 | |
(원전대조) 동인시화 | 서거정 | |
읍지 | 한국학문헌연구소 | |
읍지 | 한국학문헌연구소 | |
읍지 | 한국학문헌연구소 | |
읍지 | 한국학문헌연구소 | |
이백, 두보를 만나다 | 태학사 | 高島俊男 |
이색의시문학연구 | ||
이십육사대사전 | 길림인민출판사 | |
이십육사대사전 | 길림인민출판사 | |
이십육사대사전 | 길림인민출판사 | |
이십육사대사전 | 길림인민출판사 | |
이조 후기 한시의 사회사 | 진재교 | |
이조한문 단편집 상, 중, 하 | 이우성 외 | |
인간주자 | ||
일본한문학사 | 소명출판 | 이노구치 아츠시 |
임진왜란의 문학적 형상화 | 장경남 | |
전등신화구해 역주 | 구우 외 지음, 정용수 옮김 | |
전습록 1, 2 | 왕양명 지음, 정인재, 한정길 역주 | |
정조대의 경학과 주자학 | 김문식 저 | |
정조의 문예사상과 규장각 | 정옥자 저 | |
조선문학강독 | 조선문학강좌 | |
조선문학강독,2 | 조선문학강좌 | |
조선문학강록(1) | 한국문화사 | |
조선문학강록(2) | 한국문화사 | |
조선문학강좌편 조선문학강독 | ||
조선문학사 | 태학사 | 이가원 |
조선문학사 | 태학사 | 이가원 |
조선문학사 | 태학사 | 이가원, 영인 |
조선문학사 | 영인 | |
조선문학사 | 김하명 | |
조선문학사1 | 이가원 | |
조선문학사2 | 이가원 | |
조선문학사3 | 문헌과해석사 | 이가원 |
조선새대의한시1(혀균이가려뽑은) | ||
조선시대 당쟁사1, 2 | 이성무 | |
조선시대 문과제도 연구 | 차미희 | |
조선시대 생활사 | 한국고문서학회 | |
조선시대 소설사 연구 | 김대현 | |
조선시대 한문학과 시경론 | 심경호 | |
조선시대소설사 연구 | 김대현 | |
조선시대소설사연구 | 국학자료원 | |
조선시대의 애정소설 | 박일용 | |
조선시대의 한시 | 강석중 | |
조선시대의 한시 | 강석중 | |
조선시대의 한시 | 문헌과해석사 | 강석중 |
조선시대의 한시1(허균이 가려뽑은) | 문헌과해석사 | |
조선시대의 한시2(허균이 가려뽑은) | 문헌과해석사 | |
조선시대의 한시3(허균이가려뽑은) | 문헌과해석사 | |
조선시대의 한시2(허균이가려뽑은) | 문헌과해석사 | |
조선시대의 한시3(허균이가려뽑은) | ||
조선시대일화연구 | 이강옥 | |
조선여속고 | 이능화 | |
조선유학사 | 현상윤 | |
조선의 관혼상제 | 김종혁 | |
조선의 왕세자교육 | 김문식, 김정호 공저 | |
조선의 왕실과 외척 | 박영규 저 | |
조선조 전계소설 | 신해진 | |
조선조 한문학의 조명 | 김상홍 지음 | |
조선중기 몽유록의 연구 | 박이성,신해진 | |
조선중기 몽유록의 연구 | ||
조선한문학사 | 태학사 | 김태준 |
조선한문학사 | 태학사 | 리해산 |
조선후기 소품문의 실체 |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| |
조선후기 중인층 한문학의 연구 | 이회문화사 | |
조선후기 한시작가론 1,2 | 창작과비평사 | |
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| ||
조위한의 삶과 문학 | 국학자료원(새미) | 민영대 |
조위한의 삶과 문학 | 혜안 | |
주서백선 | ||
주역 | 학민문화사 | |
주역 | 학민문화사 | |
주역 | 학민문화사 | |
주역 | 학민문화사 | |
주역진의(현토완역) | 전통문화연구회 | |
주자학과 양명학 | 까치출판사 | 도전건차 |
주자학과 양명학 | ||
중국 시화의 시론 | 류성준 | |
중국 중당시론 | 류성준 | |
중국고전소설 비평자료총고 | 학고방 | 민관동 |
중국고전소설비평자료총고 | ||
중국고전소설전 | 신아사 | 김인철 |
중국소설비평사략 | ||
중국소학사 | 까치 | 호기광 |
중국철할사 상,하 | ||
중문대사전1 | 학고방 | |
중문대사전10 | 학고방 | |
중문대사전2 | 학고방 | |
중문대사전3 | 학고방 | |
중문대사전4 | 학고방 | |
중문대사전5 | 학고방 | |
중문대사전6 | 학고방 | |
중문대사전7 | 학고방 | |
중문대사전8 | 학고방 | |
중문대사전9 | 학고방 | |
중한대사전 | 태학사 | 고대민족문화연구소 |
지봉유설문장부의비평양상연구 | 소명출판 | |
창랑시화 곽소우 교석 | ||
창주문집 | ||
(초간) 노자 | 노자 | |
춘추 | 학민문화사 | |
춘추 | 학민문화사 | |
춘추 | 학민문화사 | |
태평한화골계전 | 태학사 | 서거정 |
태평한화골계전(역주) | ||
통감 | 강지 | |
통감절요1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통서해 | 周敦이 | |
퇴계와 고봉, 편지를 쓰다 | 소나무 | 이황 |
퇴계와 고봉, 편지를 쓰다 | ||
퇴계평전 | 이퇴계 | |
한 젊은 유학자의 초상 | 소명출판 | 杜維明 |
한국 고전문학 작가론 | ||
한국 고전시가 작품론 | 백영 정병욱선생 | |
한국 문학사의 시각 | 임형택 | |
한국 한문소설 작품연구 | 태학사 | 양언석 |
한국 한시의 이해 | ||
한국 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| 이종묵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18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20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25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30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경학자교집성34 | 대동문화연구원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소설총서 | 이상택 | |
한국고전문학 입문 | 박기석 | |
한국고전문학입문 | 집문당 | |
한국고전문학작가론 | 민족문학사연구 | |
한국고전문학작가론 | 소명출판 | 민족문학사연구 |
한국고전비평론자료집1(신라,고려편) | 태학사 | |
한국고전비평론자료집2(조선전기편) | 태학사 | |
한국고전비평론자료집3 | 태학사 | |
한국고전소설종서(1~13) | ||
한국고전소설총서(1~13) | 태학사 | |
한국구비문학사연구 | 박이정 | |
한국기록소화사론 | 황인덕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집총간 | 민추 | |
한국문학사의 논리와 체계 | ||
한국문학사의 視角 | 창작과비평 | 임형택 |
한국문학의 이해 | 민음사 | 김흥규 |
한국문학통사 | 지식산업사 | 조동일 |
한국문학통사 | 지식산업사 | 조동일 |
한국문학통사 | 지식산업사 | 조동일 |
한국문학통사 | 지식산업사 | 조동일 |
한국문학통사 | 지식산업사 | 조동일 |
한국문학통사1 | 조동일 | |
한국문학통사2 | 조동일 | |
한국문학통사3 | 조동일 | |
한국문학통사4 | 조동일 | |
한국문학통사5 | 조동일 | |
한국문화유산답 가야산과 덕유산 | ||
한국문화유산답 경기남부와 남한강 | ||
한국문화유산답 경기북부와 북한강 | ||
한국문화유산답 경남 | ||
한국문화유산답 경북 북부 | ||
한국문화유산답 경주 | ||
한국문화유산답 동해.설악 | ||
한국문화유산답 전남 | ||
한국문화유산답 전북 | ||
한국문화유산답 지리산자락 | ||
한국문화유산답 충남 | ||
한국문화유산답 충북 | ||
한국문화유산답 팔공산자락 | |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0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1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2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3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4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5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6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7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8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19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2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20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21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22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23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24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25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26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27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3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4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5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6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7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8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민족문화대백과9 | 한국정신문화연구원 | |
한국사대사전 | 고려출판사 | |
한국사상대전집 | 양우당 | |
한국사상대전집 | 양우당 | |
한국사상대전집 | 양우당 | |
한국사상대전집 | 양우당 | |
한국사상대전집 | 양우당 | |
한국사상대전집 | 양우당 | |
한국사상대전집 | 양우당 | |
한국사상대전집 | 양우당 | |
한국사상대전집 | 양우당 | |
한국사상대전집 | 양우당 | |
한국성씨대백과 | 중앙일보사 | |
한국송사소설연구 | 이헌홍 | |
한국유학사상사 | 아세아문화사 | 최영성 |
한국유학사상사 | 아세아문화사 | 최영성 |
(한국의 사상가 10人) 퇴계 이황 | 윤사순 | |
한국전기소설의 미학 | 박희병 | |
한국한문대표작평설 | 민병수 | |
한국한문대표작평설 | 태학사 | 민병수 |
한국한문대표작평설 | 신혜진 | |
한국한문소설 작품연구 | 국학자료원(새미) | |
한국한문소설작품연구 | ||
한국한문소설작품연구 | 국학자료원 | |
한국한문학개론 | 태학사 | 민병수 |
한국한문학개론 | 태학사 | 민병수 |
한국한시대표작평서 | 태학사 | |
한국한시대표작평서 | 태학사 | |
한국한시비평의연구 | ||
한국한시사 | 태학사 | 민병수 |
한국한시사 | ||
한국한시사 | 태학사 | |
한국한시의전통과문예미 | 태학사 | 이종묵 |
한국한시작가연구 1~7 | 태학사 | |
한국한시작가연구5 | 태학사 | |
한국한시작가연구6 | 태학사 | |
한국한시작가연구7 | ||
한국한자어사전1 | 단국대동양학연구소 | |
한국한자어사전2 | 단국대동양학연구소 | |
한국한자어사전3 | 단국대동양학연구소 | |
한국한자어사전4 | 단국대동양학연구소 | |
한글 세대가 본 논어 1 | 배병삼문학동네 | 공자 |
한글 세대가 본 논어 2 | 배병삼문학동네 | 공자 |
한길문학예술총서 제10권 | 김춘택 | |
한문교육론 | 장서원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대계 | 부산방 | |
한문문체론 | 이회문화사 | 진필상 |
한문사서한극음수색인 | 학고방 | |
한문산문의 내면 풍경 | 소명출판 | |
한문을 어떻게 잃을 것인가 | 이회문학사 | 포선순 |
한문을 어떻게 잃을 것인가 | ||
한문학사 | 새문사 | 이병주 |
한문학의 연구와 해석 | 일조각 | 정요일 |
한서 | 광업서국 | |
한시 미학 산책 | 솔 | 정민 |
한시사가의청대시수용연구 | 태학사 | |
한어대사전1 | 한어대사전출판사 | |
한어대사전2 | 한어대사전출판사 | |
한어대사전3 | 한어대사전출판사 | |
한어대사전4 | 한어대사전출판사 | |
한어대사전5 | 한어대사전출판사 | |
한자의 역사 | 아십철차 | |
한자의 역사 | 학민사 | 김언종 |
한자의 역사 | ||
한자자형의 세계 | 김용걸 | |
한자학 | 아십철차 | |
한자학 | 이회문학사 | |
한자학 | 이회문학사 | |
한자학 | 심경호 | |
(韓譯) 陶淵明全集 | 陶淵明 | |
한학 연구 입문 | 심경호 | |
한한대사전1 | 단국대동양학연구소 | |
한한대사전2 | 단국대동양학연구소 | |
한한대사전3 | 단국대동양학연구소 | |
한한대사전4 | 단국대동양학연구소 | |
한한대사전5 | 단국대동양학연구소 | |
해동강서시파연구 | 태학사 | |
해동소학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해외수일본 한국고소설총서(전13권) | 이상택 | |
현토완역 동몽선습 격몽요결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현토완역 맹자집주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현토완역 사자소학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현토완역 시경전집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현토완역 주역전의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현토완역 주해천자문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현토완역 통감절요1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현토완역 해동소학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현토완역 효경대의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효경대의 | 전통문화연구회 | |
후산집 | 세진사 | |
후산집 | 세진사 | |
후산집 | 세진사 |
